맨위로가기

림 협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 협만은 덴마크 북부에 위치한 좁고 긴 협만이다. 1825년 대홍수로 북해가 서쪽으로 유입되면서 양쪽으로 바다와 연결되었으며, 1862년 티보론 해협이 형성되었다. 림 협만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입구가 바뀌었으며, 뢰그스퇴르 지역의 운하 건설, 티보론 항구 건설 등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림피오르는 덴마크 문학 작품의 배경으로도 자주 등장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학적 가치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해협 - 카테가트 해협
    카테가트 해협은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사이에 위치한 해협으로, 주요 강이 유입되고 여러 섬들이 있으며, 독특한 염분 층 구조와 무산소 상태로 생태계 보존이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발트해의 주요 통로였으며 현재는 환경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덴마크의 해협 - 스카게라크 해협
    스카게라크 해협은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사이에 위치하며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해협으로, 해상 교통과 산업 활동이 활발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해양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림 협만

2. 역사

림 협만의 역사는 자연적인 지형 변화와 인간의 개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중세 초기부터 1825년까지 림 협만은 동쪽으로만 북해와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1825년 2월 대홍수로 인해 서쪽의 모래톱이 뚫리면서 북해와 직접 연결되는 통로가 처음 생겨났고, 이로 인해 윌란 반도 북부의 벤쉬셀-티 지역이 섬이 되었다.

이후 서쪽 통로는 모래 퇴적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를 보였으며, 1862년 또 다른 홍수로 현재의 주된 서쪽 입구인 티보론 해협이 형성되었다.[1] 기존의 아게르 해협은 1877년에 완전히 막혔고, 이후 티보론 해협이 준설 작업을 통해 주요 항로로 유지되고 있다. 이 서쪽 입구의 개방은 림 협만 서부 항구들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협만 중간의 뢰그스퇴르 부근에 위치한 모래톱은 선박 통행에 큰 장애물이었으나, 1861년 프레데릭 7세 운하 건설과 1901년 모래톱 준설을 통해 항해가 원활해졌다.

현재 티보론 해협은 지속적인 모래 퇴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사석 설치, 모래 펌핑 등으로 관리되고 있다. 한편, 서풍으로 인한 서부 저지대의 홍수 문제 해결 및 지형 안정을 위해 1946년부터 티보론 해협을 댐과 수문으로 다시 막는 방안이 논의되어 왔으며, 2005년 이후 다시 공식적으로 검토되고 있다.[2] 과거에는 북해와 림 협만을 직접 잇는 별도의 운하 건설 계획도 제안된 바 있다.[3]

2. 1. 서쪽 개방

중세 초기부터 1825년까지, 림 협만은 동쪽 끝에서만 바다로 열려 있었다. 그 해 북해가 서쪽에서 뚫고 들어와 두 번째 입구를 만들면서, 윌란 반도의 북부인 벤쉬셀-티를 섬으로 만들었다.

역사적으로 림 협만은 이동하는 모래 둔덕으로 북해와 분리되어 있었다. 현재의 입구인 티보론 해협은 1862년부터 존재했다. 바이킹 시대에도 통로가 있었다. 지명과 지형을 바탕으로 볼 때, 현재의 입구 남쪽, 페링 쇠 (현지에서는 '피요르'라고 불림)와 휘곰 노르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크누트 대왕은 1027년 잉글랜드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곳으로 항해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에 따르면, 이 통로는 1200년경에 막혔다. 16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여러 차례의 홍수가 둔덕을 뚫고 지나간 기록이 있다.

1825년 2월 3일, 홍수는 당시까지 티를 윌란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했던, 길이 13km, 폭 1km 미만의 둔덕인 아게르 탕 북쪽에 영구적인 입구인 이른바 아게르 해협을 뚫었다. 북윌란의 서쪽 부분은 윌란 본토와의 도로 연결이 끊겼지만, 림 협만 서쪽 부분의 도시와 항구는 북해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올보르의 실망을 샀다. 1840년대부터 서쪽 경로는 영국이 곡물 수입을 허용하면서 점점 더 중요해졌고, 선박은 영국 석탄을 싣고 돌아올 수 있었다. 그러나 아게르 해협의 불안정성 때문에 림 협만 서쪽의 도시들은 두 번째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1862년, 홍수는 아게르 탕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 또 다른 입구인 티보론 해협을 뚫었다.[1] 아게르 해협은 끊임없이 모래로 채워져 결국 1877년에 막혔다. 그 이후, 남은 티보론 해협은 준설을 통해 열리고 항해 가능하도록 유지되었다. 티보론 항구는 1914~1918년에 건설되었고, 도시가 세워졌다. 두 둔덕은 1800년대 이후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사석과 지속적인 모래 펌핑, 그리고 안쪽(동쪽) 측면을 따라 두 개의 도로 댐에 의해서만 보존되어 왔다.

1946년 법안은 티보론에 댐과 수문을 설치하여 채널을 재폐쇄하도록 규정했지만, 이는 실행되지 않았다. 이 아이디어는 2005년에 다시 등장했으며, 현재 공식적으로 조사 중이다. 지협을 보존하는 것이 더 쉬울 것이며, 림 협만의 수위를 더 잘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풍이 지속적으로 불어오는 시기에는 림 협만 서부의 낮은 지대와 항만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는데, 이는 좁은 협만 동부 지역을 통해 물이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2]

역사적으로, 북해와 림 협만을 잇는 운하가 한스홀름 항구와 베일레르네 (또는 클리트묄러와 티스테드) 사이에 제안되었으며, 예를 들어 요르겐 피비거에 의해 1933년에 제안되었다.[3] 그는 한스홀름 항구 프로젝트의 엔지니어였다.

2. 2. 뢰그스퇴르 뱅크와 프레데릭 7세 운하

림 협만의 넓은 서쪽 부분과 좁은 동쪽 부분이 만나는 뢰그스퇴르 지역에는 '뢰그스퇴르 그룬데'(Løgstør Grunde)라고 불리는 악명 높은 모래톱이 있어 선박 통행에 큰 장애가 되었다. 규모가 큰 선박들은 이 모래톱을 통과하기 위해 짐을 내렸다가 다시 실어야 하는 불편함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선박의 원활한 통행을 돕기 위해 1861년 뢰그스퇴르에 프레데릭 7세 운하가 완공되었다. 이후 티뵈론의 서쪽 입구가 열려 항해가 가능해지면서 림 협만의 교통량은 더욱 증가했다. 늘어난 교통량을 감당하기 위해 1901년에는 마침내 모래톱 자체를 준설하는 공사가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운하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현재 프레데릭 7세 운하는 사용되지 않지만, 잘 보존된 유산 지역으로 남아있다.

2. 3. 서쪽 입구 재폐쇄 계획

1946년, 티보론에 댐과 수문을 설치하여 해협을 다시 폐쇄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이 아이디어는 2005년에 다시 제기되어 공식적인 조사가 진행 중이다. 서쪽 입구를 다시 막으면 지협을 보존하기가 더 쉬워지고, 림 협만의 수위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풍이 지속적으로 불 때 림 협만 서쪽의 저지대와 항만 지역에서는 홍수가 발생하는데, 이는 물이 좁은 동쪽 지역을 통해 빠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이다.[2]

역사적으로 북해와 림 협만을 직접 잇는 운하 건설이 제안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한스홀름 항구 프로젝트의 엔지니어였던 요르겐 피비거는 1933년에 한스홀름 항구와 베일레르네 사이 또는 클리트묄러와 티스테드 사이에 운하를 건설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3]

3. 문학 속 림피오르

림 협만은 덴마크 문학사에서 중요한 공간으로, 특히 19세기 후반 모던 브레이크스루 시대(1870-1890)와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활동했던 여러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이들은 림 협만의 풍경과 삶을 작품의 중요한 소재로 삼았다.

이후 20세기 초, 이 지역 출신 작가들을 중심으로 상징주의에 반대하며 사회 현실주의 문학을 추구하는 유틀란트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들은 당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덴마크 시골 지역의 현실, 특히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했다.[5]

3. 1. 림그림 전설

전설에 따르면, 한 여성 (일부 버전에서는 ''요툰'')이 돼지 림그림을 낳았는데, 림그림은 곧 매우 커져서 털이 나무 꼭대기 위로 보일 정도였다고 한다. 림그림은 어슬렁거리며 땅에 도랑을 팠다. 어느 날 바다에 도달했고 물이 터져 나왔다. 이는 림 협만의 동쪽 입구인 할스에서 일어났을 것이다. 이 전설은 중세 발라드로도 전해지며 기독교적인 색채를 띤다. 발라드에서 돼지는 농부들의 작물 피해에 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기 위해 팅에 소환되어 바퀴형 처형틀에 처해진다.[4]

스키베에 정박한 국가 환경 감시선 ''림그림''은 이 전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2. 림피오르 시인

모던 브레이크스루 시대(1870-1890)와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림 협만 주변 지역에서는 많은 작가들이 활동했으며, 이들은 종종 협만을 서정적인 모티프나 산문 작품의 배경으로 활용했다. 대표적인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레밍비 출신의 토게르 라르센은 1920년대 상징주의 경향을 보였다. 스투어의 산문 작가 요하네스 부홀츠의 집은 많은 림 협만 작가들의 만남의 장소였으며, 현재 스투어 박물관에서 관리하며 방문객에게 공개하고 있다. 또한, 스퀴에 근처 예페 오케르의 농장 옌레, 외슬뢰스의 요한 셸보르 집, 파르쇠의 요하네스 V. 옌센 박물관 역시 일반에 개방되어 있다.

하르보르 출신의 에리크 베르텔센이 작곡한 "블레스텐 고르 프리스크 오버 림피요르덴스 바네"(Blæsten går frisk over Limfjordens vande|블레스텐 고르 프리스크 오버 림피요르덴스 바네da, '림 협만의 물 위로 신선한 바람이 분다')는 널리 불리는 "지역 찬가"이다.

이러한 림 협만 작가들의 후기 세대는 20세기 초, 기존의 상징주의에 반기를 들고 유틀란트 운동을 결성했다. 이들은 사회 현실주의 산문을 통해, 당시 코펜하겐의 기득권층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덴마크 시골 지역의 가난하고 착취당하는 사람들의 삶을 주로 다루었다.[5]

4. 생물학 및 기후

1825년 서쪽으로 북해와 연결된 이후, 림 협만의 물은 기수에서 해수로 바뀌었으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상당한 조류가 흐르게 되었다. 여름철 따뜻하고 바람이 없는 기간이나 겨울철 얼음으로 덮이는 시기에는 때때로 저산소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 협만은 모든 깊이에서 약 30 PSU (실용 염분 단위)의 대양성 염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덕분에 스카게라크 해협, 카테가트 해협북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해양 동물과 식물이 협만 내에서도 서식할 수 있다.

협만은 수심이 얕아 수온 변화가 빠른 편이다. 따뜻하고 일조량이 좋은 날씨에는 4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수온이 상당히 빠르게 상승한다. 반대로 겨울철 추운 기간에는 얼음이 얼기 쉬운데, 특히 조류의 흐름이 약한 만 지역에서 더 그렇다. 다만 심각한 수준의 결빙이 매 겨울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림 협만은 특히 맛있는 홍합 (''Mytilus edulis'')으로 유명하며[6], 크기와 품질이 뛰어난 역시 높이 평가받는다. 이러한 해산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은 1825년 이후 협만 물의 염도가 높아진 것과 관련이 깊다.

참조

[1] 위성사진 Satellite image http://www.flasheart[...]
[2] 강연 Flood in the Limfjord http://www.hum.aau.d[...] 2010-04-07
[3] 뉴스 En Kanal fra Limfjorden til Jammerbugten http://www.thistedmu[...] Aalborg Stiftstidende 1933-01-02
[4] 간행물 Lidt om Limfjorden : Limgrises Vise; Smaaøer og Holme http://www.thistedmu[...] Historisk Årbog for Thisted amt 1929
[5] 웹사이트 The Jutland movement http://www.jeppeaakj[...]
[6] 웹사이트 Page:workplan - the MaBenE research project http://www.nioo.knaw[...] 2022-01-15
[7] 웹사이트 Nissum Bredning with Harboore and Agger Tang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9
[8] 웹사이트 Vejlerne and Løgstør Bredning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9
[9] 웹사이트 Ulvedybet and Nibe Bredning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